<p></p><br /><br />경찰 첫 사건 보고에도 허술함이 드러났습니다. <br><br>파출소 측의 최초 보고에서는 애초에 엉뚱한 아파트 동 번호가 쓰여있었던 겁니다. <br><br>정확하지도 않은 정보로 사건 조사 기초 자료를 만들고 내사 종료, 결론 낸 셈인데, 채널에이 취재 결과, 여긴 아예 차가 들어갈 수도 없는 장소였습니다. <br> <br>장하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지난달 6일 늦은밤, 이용구 법무부 차관에게 폭행을 당한 택시기사 신고를 받은 경찰은 사건 발생 장소인 아파트 단지 입구 경비실 앞으로 출동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채널A 취재결과, 현장에 출동했던 파출소 측이 최초 보고한 사건 발생 장소는 엉뚱한 곳이었습니다. <br><br>이 차관이 사는 아파트 단지 내 한 가운데에 있는 102동을 사건 발생 장소라고 보고한 겁니다. <br> <br>실제로 기사 폭행이 일어난 도로변 경비실 앞과는 차이가 있습니다. <br><br>파출소의 이 보고는 경찰서로 전달됐고 사흘 뒤인 지난달 9일 이뤄진 택시기사 피해자 조사에서 기초 자료로 사용됐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다시 사흘 만인 지난달 12일, 경찰은 아파트 단지 안에서 일어난 사건이란 이유 등으로 내사 종결했습니다. <br> <br>폭행 사건이 실제로 일어난 경비실 앞에서 파출소가 발생 장소라고 최초 보고한 102동 앞까지 직접 이동해 봤습니다. <br> <br>도중에 계단이 설치돼 있어 택시는 애초부터 접근할 수 없는 구조입니다. <br> <br>최초 보고가 부정확한 이유를 경찰에 질의하자, <br><br>"출동했을 당시 날이 어두워서 경찰관이 동 번호를 잘못 보고한 것 같다"는 답이 돌아왔습니다. <br> <br>다만 지난달 9일 택시기사를 불러 정식 피해자 조사를 하는 과정에선, 사건 발생 장소를 다시 확인했기 때문에 수사 과정에 문제는 없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. <br> <br>jwhit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박연수 <br>영상편집: 차태윤